불법 입국 9일 만에 성범죄…英 난민 임시숙소 앞 ‘분노 폭발’ [핫이슈]

에티오피아 출신 남성, 10대 소녀 등 성추행 혐의로 구속
극우 시위대 난민 호텔 앞 집결
“아이들을 지켜라”…난민 체포에 주민 시위 격화
thumbnail - 14일(현지시간) 영국 에식스주 에핑 중심가에 있는 3성급 호텔 ‘더 벨’ 앞에서 반이민 단체와 인권 운동가들이 맞불 시위를 벌이다 충돌했다(왼쪽). 한 남성이 머리에 피를 흘린 채 경찰 통제선을 지나고 있다. 출처=데일리메일
14일(현지시간) 영국 에식스주 에핑 중심가에 있는 3성급 호텔 ‘더 벨’ 앞에서 반이민 단체와 인권 운동가들이 맞불 시위를 벌이다 충돌했다(왼쪽). 한 남성이 머리에 피를 흘린 채 경찰 통제선을 지나고 있다. 출처=데일리메일


영국의 한 난민 숙소 앞에서 성범죄 혐의로 기소된 난민에 분노한 주민 시위가 폭력 사태로 확산했다.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 이브닝 스탠더드 등은 15일(현지시간) 에식스주 에핑 중심가에 있는 3성급 호텔 ‘더 벨’ 앞에서 전날 반이민 단체와 인권 운동가들이 맞불 시위를 벌이다 충돌했다고 보도했다.

이 호텔은 최근 정부 위탁으로 난민 임시 숙소로 사용되고 있었으며, 이곳에 머물던 남성이 성범죄 혐의로 체포됐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분노한 주민들이 현장으로 몰려든 것이다.

10대 소녀 포함 여성 3명 피해…총 5건 성범죄 혐의문제의 난민은 에티오피아 출신 하두시 게르브슬라시에 케바투(38)로, 지난달 29일 소형 보트를 타고 영국에 밀입국했다. 입국 9일 만인 이달 8일 한 10대 소녀의 신고로 체포됐고 수사 과정에서 여성 3명에 대한 추가 범행이 드러났다.

경찰은 케바투에게 ▲성추행 3건 ▲미성년자 대상 성적 유도 행위 1건 ▲반복적 접근에 의한 괴롭힘 1건 등 총 5건의 성범죄 혐의를 적용해 기소했다. 그는 현재 구속 상태이며 모든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

시위대 “너의 나라로 돌아가라”…‘성조지 깃발’도 등장
thumbnail - 14일(현지시간) 영국 에식스주 에핑 중심가에 있는 3성급 호텔 ‘더 벨’ 앞에서 반이민 단체가 시위를 벌이고 있다. 출처=데일리메일
14일(현지시간) 영국 에식스주 에핑 중심가에 있는 3성급 호텔 ‘더 벨’ 앞에서 반이민 단체가 시위를 벌이고 있다. 출처=데일리메일


현장에 집결한 주민들은 “아이들을 지켜야 한다”, “너의 나라로 돌아가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일부는 ‘성조지 십자가’ 깃발을 흔들며 극우적 메시지를 드러냈다. 성조지 깃발은 잉글랜드 국기지만 최근에는 반이민 성향 집단이 ‘영국 정체성 수호’를 상징하며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맞서 인권 단체들은 ‘난민 환영’, ‘반극우’ 등의 팻말을 들고 시위에 나섰고 차량 옆에서 격투가 벌어지는 등 현장은 일순간 아수라장으로 변했다. 한 남성이 머리에 피를 흘린 채 경찰 통제선을 지나는 장면도 포착됐다. 현장에 출동한 경찰은 양측을 분리해 충돌을 제지했으나 체포된 이는 없었다.

“도심 호텔은 난민 수용에 부적절”…지역 당국 반발
thumbnail - 14일(현지시간) 영국 에식스주 에핑 중심가에 있는 3성급 호텔 ‘더 벨’ 앞에서 반이민 단체가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 호텔  위에는 한 남성이 올라가 있다. 출처=이브닝 스탠더드
14일(현지시간) 영국 에식스주 에핑 중심가에 있는 3성급 호텔 ‘더 벨’ 앞에서 반이민 단체가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 호텔 위에는 한 남성이 올라가 있다. 출처=이브닝 스탠더드


크리스 휘트브레드 에핑 포레스트 구청장은 “애초 더 벨 호텔은 난민 수용 시설로 적합하지 않았다”며 “도심 한복판에 아무런 관리도 없이 취약 계층을 배치한 것은 무책임한 결정”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호텔의 즉각적인 난민 수용 중단과 폐쇄를 요구하며 온라인 청원을 시작했고 현재 4500명 이상이 이에 동참했다고 알려졌다.

“지역과 소통 없이 밀어붙인 난민 정책, 갈등만 키워”이번 사건은 난민 수용 정책이 지역사회와의 충분한 조율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될 경우 극단적인 반발을 불러올 수 있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다.

한국에서도 난민 수용을 둘러싼 논의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지역 주민과의 신뢰 형성과 제도적 정비 없이는 유사한 갈등이 재현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윤태희 기자
Popular News
Latest Shorts
기자 PICK 글로벌 뉴스
TWIG 연예·이슈·라이프
서울 En 방송·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