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핵개발 재개시 이란 치겠다’는 네타냐후에 반대 안해 - WSJ
윤태희 기자
입력 2025 07 13 10:21
수정 2025 07 13 10:2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AFP 연합뉴스
이란이 핵무기 개발을 재개한다면 이스라엘이 추가 공격하겠다는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의 구상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대 입장을 내지 않았다는 보도가 나왔다.
1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백악관에서 지난 7일 열린 미국과 이스라엘 정상 회담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이렇게 보도했다.
당시 네타냐후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비공개 대화에서 “이란이 핵무기 개발을 재개할 경우 이스라엘은 군사적 타격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과의 외교적 해결을 선호한다고 답하면서도 이스라엘의 군사적 대응 계획에 직접적인 반대 의사를 표하지 않았다.
WSJ은 미국과 이스라엘, 이란의 셈법이 서로 충돌하고 있어 이란 핵 문제 해결을 위한 접점을 찾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우선 트럼프 대통령은 앞으로 이란과 협상을 하되, 이란이 비핵화 합의를 하도록 압박하는 차원에서 이스라엘의 추가 공격 경고가 효과적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외교를 통해 이란의 비밀 핵 개발을 저지하는 것 자체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란은 미국과의 핵 협상을 재개하기 위해서는 미국과 이스라엘이 더 이상 대이란 군사 공격에 나서지 않을 것임을 보장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처럼 엇갈리는 계산 속에, 중단 상태인 미국과 이란 간 핵 협상 일정은 아직 잡히지 않았지만 외교의 공간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닌 듯 보인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AP 연합뉴스
일단 네타냐후 총리는 대이란 공격에서 일정한 성과를 내고 정치적 동력도 얻었지만, 이란과의 핵 협상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를 무시할 수 없는 입장이다.
또 지난달 미국과 이스라엘의 공격을 받아 핵시설과 군사 인프라에 타격을 입은 이란도 미국의 협상 제안을 거부하는 데 따를 위험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
이란 입장에서 미국의 협상 요구를 거부한 채 핵 개발 행보를 재개했다가 미국과 이스라엘의 재공격을 받고 하메네이 정권 생존의 위기에 직면할 가능성을 간과하기 어려운 것이다.
이런 가운데, 이스라엘은 자국과 미국이 지난달 공격한 이란 핵시설 3곳(나탄즈·이스파한·포르도) 중 이스파한의 농축우라늄 비축분 중 일부가 이란 측이 상당한 노력을 할 경우 회수할 수 있는 상태로 판단했다고 WSJ은 소개했다.
반면 나탄즈와 포르도의 경우 시설 파괴의 정도가 심해서 이란이 이들 두 곳에서는 농축우라늄 비축분을 수거할 수 없을 것이라고 이스라엘은 보고 있다.
다만 이란이 이스파한의 농축우라늄 비축분을 수습하려 하거나 훼손된 핵 프로그램을 되살리려 할 경우 이스라엘에 의해 신속히 포착될 것이라고 이스라엘 당국자는 WSJ에 밝혔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AP 연합뉴스
한편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란이 우라늄 농축을 할 수 없도록 하는 내용의 핵 합의 구상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트럼프 대통령과 이란 당국자들에게 전달했다고 미국 매체 악시오스가 보도했다.
윤태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