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잼 사이언스] 쥐라기 시대 어룡도 경쟁 대신 상생 택했다

오징어떼를 먹고있는 어룡의 가상 그래픽 이미지
오징어떼를 먹고있는 어룡의 가상 그래픽 이미지
약육강식의 법칙이 지배하는 것 같은 정글도 사실 여러 동식물과 미생물이 서로 얽혀서 공존하는 생태계다. 물론 치열한 생존 경쟁도 분명한 현실이지만, 같은 장소에서 먹이와 공간을 나눠서 서로 상생하며 살아가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예를 들어 기린은 땅에 난 풀을 가지고 다른 초식동물과 경쟁하는 대신 남들이 먹기 힘든 나뭇잎을 먹기 위해 목이 길어지는 방향을 택했다. 주로 낮에 사냥하는 동물과 밤에 사냥하는 동물처럼 시간대를 나누는 방법도 있다. 과학자들은 이런 상생의 지혜가 상당히 오래전부터 이어졌다는 증거를 여럿 발견했다. 예를 들어 쥐라기 어룡도 경쟁 대신 상생을 선택했다.

어룡(Ichthyosaurs)은 돌고래를 닮은 중생대 해양 파충류로 비슷한 환경에서 비슷한 형태로 진화하는 수렴 진화의 대표적인 사례로 자주 인용된다. 하지만 모든 어룡이 돌고래처럼 빠르게 헤엄치는 물고기를 잡아먹기 편한 긴 주둥이를 지녔던 것은 아니었다. 브리스톨 대학 과학자들은 영국 스트로베리 뱅크의 1억 8500만년 전 쥐라기 지층에서 넓은 주둥이를 지닌 어룡을 발견했다.
어룡의 화석과 3차원으로 복원된 이미지. 사진=Bath Royal Literary and Scientific Institution Collections/Mike Benton
어룡의 화석과 3차원으로 복원된 이미지. 사진=Bath Royal Literary and Scientific Institution Collections/Mike Benton
연구팀은 고생물학자인 마리 애닝이 보관 중이던 독특한 외형의 어룡 화석을 고해상도 CT 스캔을 통해 파괴하지 않고 3차원적으로 재구성했다. 납작하게 눌려 있던 화석을 살아있을 때 모습으로 재구성한 결과 이 어룡은 길쭉한 주둥이 대신 범고래처럼 크고 둥근 형태의 입을 갖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같은 지층에서 발견된 다른 어룡은 핀셋처럼 긴 주둥이를 갖고 있어 작고 빠른 물고기나 연체동물을 잡아먹는 데 유리했다. 반면 뭉특하고 단단한 입을 지닌 어룡은 무는 힘이 매우 강해서 단단한 껍질을 지니고 있지만 속도는 느린 먹이를 잡는 데 유리했다. 따라서 다른 어룡과 먹이를 두고 경쟁하지 않고 공존할 수 있었다.

이렇게 먹이에 따라 특화된 종들이 등장하면 생물학적 다양성이 증가하면서 생태계는 더 풍요로워진다. 같은 먹이를 두고 경쟁하지 않기 때문에 개체수도 더 많아지고 환경 변화에도 강해진다. 이런 자연의 지혜는 수억 년의 세월이 흘러도 변함이 없다.
 


고든 정 과학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
Popular News
Latest Shorts
기자 PICK 글로벌 뉴스
TWIG 연예·이슈·라이프
서울 En 방송·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