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만분의 1 확률···행운의 상징 ‘알비노 사슴’ 발견

지난달 29일 한 틱톡 사용자가 자신의 계정에 올린 알비노 사슴. 일부 지역에서는 행운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틱톡 캡처
지난달 29일 한 틱톡 사용자가 자신의 계정에 올린 알비노 사슴. 일부 지역에서는 행운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틱톡 캡처


마치 동화에 등장할 법한 신비한 외형의 사슴이 포착됐다.

틱톡과 엑스(옛 트위터)를 뜨겁게 달군 영상은 지난달 29일 한 틱톡 사용자가 자신의 계정에 올린 것으로, 도로에서 우연히 마주친 알비노(백색증) 사슴을 담고 있다.

영상 속 알비노 사슴은 숲과 도로의 경계에서 마치 그림처럼 멈춰 서 있다가, 여성이 다가가자 한동안 응시하는 모습이었다. 이후 천천히 걸음을 옮겨 숲으로 돌아갔다.

지난달 29일 한 틱톡 사용자가 자신의 계정에 올린 알비노 사슴. 일부 지역에서는 행운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틱톡 캡처
지난달 29일 한 틱톡 사용자가 자신의 계정에 올린 알비노 사슴. 일부 지역에서는 행운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틱톡 캡처


영상 속 사슴의 온 몸은 새하얀 털로 뒤덮여 있었으며, 눈과 코, 귀는 분홍빛을 띠고 있었다.

틱톡 사용자는 영상과 함께 “퇴근길에 마주친 마법 같은 순간”이라고 적었으나, 언제 어디서 사슴을 포착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해당 영상은 틱톡에서만 540만 회 이상 조회됐으며, 수많은 네티즌이 이 게시물에 찾아와 소원을 비는 진귀한 현상도 벌어졌다. 일부 지역에서 알비노 사슴은 행운의 상징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지난달 29일 한 틱톡 사용자가 자신의 계정에 올린 알비노 사슴. 일부 지역에서는 행운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틱톡 캡처
지난달 29일 한 틱톡 사용자가 자신의 계정에 올린 알비노 사슴. 일부 지역에서는 행운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틱톡 캡처


유럽과 켈트 신화에서 흰색 사슴은 초자연적인 존재로 여겨지며, 신비주의와 행운의 상징이다. 일부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은 흰 사슴을 예언 및 영적 메시지와 연관시키기도 한다.

한편 미국 국립사슴협회에 따르면, 알비노 사슴은 멜라닌 합성 결핍을 초래하는 유전적 질환으로 탄생하며, 부모 모두가 열성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야만 가능하다.

야생에서 알비노 사슴이 태어날 확률은 3만분의 1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시력이 좋지 않고 지나치게 눈에 띄는 외형 탓에 포식자의 먹잇감이 되기 쉽다.

송현서 기자
Popular News
Latest Shorts
기자 PICK 글로벌 뉴스
TWIG 연예·이슈·라이프
서울 En 방송·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