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크의 주변을 맴도는 죽음 [으른들의 미술사]

뭉크, ‘임종’, 1895, 캔버스에 유채와 템페라, 90.2x 121.3cm, 코데미술관, 노르웨이.
뭉크, ‘임종’, 1895, 캔버스에 유채와 템페라, 90.2x 121.3cm, 코데미술관, 노르웨이.
방 한 구석 침대에서 누군가 죽음을 맞고 있다. 죽음을 맞은 이 앞에 가족들이 마지막 인사를 전한다. 이 작품에서 죽은 이의 얼굴을 알아볼 수는 없다. 다만 슬퍼하는 이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애도를 표한다. 뭉크는 스무살이 되기도 전에 가족 가운데 어머니와 누나 두 명을 잃었다.

뭉크 어머니 로이라는 1868년 12월 5남매를 남겨두고 죽음을 맞았다. 로이라가 숨을 거둔 그날 새벽 누군가 소피에와 뭉크를 깨워 엄마에게 마지막 인사를 하게 했다. 로이라는 두 아이에게 마지막 말을 전했다. “나는 너희들 곁을 떠나야 돼. 내가 가버리면 슬플 거야. 우리는 곧 하늘에서 만날 수 있을 거야. 신께서 너희와 함께 하기를...” 5살의 뭉크는 이 말의 뜻을 몰랐지만 무서웠다고 술회했다.

요람을 흔드는 죽음의 천사창백한 얼굴들, 검은 옷을 입은 인물들과 그림자, 그리고 단축법으로 표현된 죽은 이. 마지막 인사를 하는 자리엔 슬픔과 침묵만이 흘렀다. 뭉크의 가족은 모두 죽음은 잠자는 것이라고 믿었다. 뭉크는 훗날 ‘질병, 광기, 죽음은 늘 내 요람 곁에 있었지’라며 죽음이 그의 작품의 주요한 모티프였음을 밝히고 있다.

뭉크는 20여 년에 걸쳐 이 작품을 유화, 파스텔, 석판화 등 여러 버전으로 제작했다. 이번에 전시되는 작품은 알베르티나 미술관 소장의 석판화와 개인소장(작품명 ‘임종’) 석판화 두 점이 선보인다. 임종을 맞은 이 주변에 5명의 인물들이 각자의 방식으로 애도를 표한다.

다만 맨 앞에 있는 여성만 관객을 향해 있다. 다른 버전의 작품들을 보면 이 여성은 환자 머리맡에 놓인 물병과 약병을 챙겨주기도 한다. 따라서 이 인물을 카렌 이모로 해석하기도 한다. 그 옆의 노인은 뭉크의 아버지다. 아버지는 두 손을 모아 간절히 기도를 드린다.
뭉크, ‘죽음과의 싸움’, 1896, 석판화, 39.5x50cm, 알베르티나 미술관.
뭉크, ‘죽음과의 싸움’, 1896, 석판화, 39.5x50cm, 알베르티나 미술관.
카푸트 모르툼, 죽은 이의 머리흥미로운 점은 유화 버전과 달리 벽지에 알 수 없는 두 인물이 함께 있다는 것이다. 성별도, 연령도 알 수 없는 두 영혼은 죽은 이를 바라본다. 유화 버전에서 이 벽은 적갈색의 빈 공간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이 안료 이름은 카푸트 모르툼(Caput Mortuum)이다.

이는 라틴어로 ‘죽은 이의 머리’라는 뜻이다. 카푸트 모르툼은 연금술에서 사용하고 남은 찌꺼기를 의미하는데 바로 산화철로 적갈색을 띤다. 뭉크는 유화에서는 ‘죽은 이의 머리’ 색으로, 판화에서는 죽은 이의 머리를 그려 넣은 것이다.

예술로 승화된 그리움여기 누워 죽음을 맞은 이가 뭉크의 어머니나 누나인지 알 수 없다. 다만 뭉크는 1895년 서른 살이 넘어 어릴 적 어머니와 누나의 상실감을 표현했다. 뭉크 작품의 특징은 어릴 적 기억을 그렸지만 어릴 때 모습으로 등장하는 것이 아니라 등장인물이 모두 성인으로 등장한다는 점이다.

이 작품을 통해 끝나지 않은 뭉크 삶의 슬픔을 엿볼 수 있다. 죽음은 누구에게나 언제고 닥칠 일이다. 누군가 슬퍼하고 기억해 준다면 잘 산 인생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뭉크는 어머니를, 누나를 죽는 날까지 그리워했다.

<편집자주> 서울신문사는 올해 창간 120주년을 맞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에드바르 뭉크 전시 ‘비욘드 더 스크림’(Beyond The Scream)을 오는 5월 22일부터 9월 19일까지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개최한다. 올해는 뭉크가 사망한 지 80주기를 맞이하는 해다.



이미경 연세대 연구교수·미술사학자 bostonmural@yonsei.ac.kr
Popular News
Latest Shorts
기자 PICK 글로벌 뉴스
TWIG 연예·이슈·라이프
서울 En 방송·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