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화성서 얼음 확보할 최적 정착지 찾았다

thumbnail - MRO의 HiRISE 카메라가 촬영한 화성 아마존 평야의 다각형 지형. NASA
MRO의 HiRISE 카메라가 촬영한 화성 아마존 평야의 다각형 지형. NASA


화성은 춥고 건조한 사막 행성이다. 35억년 전에는 지구처럼 액체 상태의 물이 흘렀지만 화성의 작은 크기와 약한 자기장 때문에 대기의 대부분을 잃어 버렸다. 이 때문에 이산화탄소에 의한 온실효과도 사라져 지표가 빠르게 냉각돼 건조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과학자들은 과거 표면에 흘렀던 물 가운데 일부가 땅속으로 스며들어 얼음 형태로 남아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 미시시피대 행성 지질학자 에리카 루찌가 이끄는 연구팀은 나사(미 항공우주국)의 화성 탐사선 MRO가 보내온 HiRISE 카메라 데이터를 분석해 화성 땅 밑에서 얼음 형태의 물을 찾을 수 있는 유력한 장소를 조사했다. 연구팀이 발견한 가장 유망한 장소는 화성 중위도 지역에 있는 아마존 평야였다.

아마존 평야는 북위 24도에 위치한 지대로 지구의 아이슬란드와 비슷한 지형을 지녀 과학자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연구팀은 이곳의 특징적 지형 패턴이 지표 가까이에 얼음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고 본다. 다각형 형태의 특징적인 패턴은 수분을 포함한 땅이 얼면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화성의 다각형 패턴 지형은 아마존 평야 이외 지역에서도 확인되지만, 연구팀은 이곳이 태양 에너지를 받기에 적당한 지역이면서 너무 적도에도 가깝지 않아 지표 아래 얼음이 사라지지 않을 최적의 장소로 보고 있다. 따라서 미래 유인 및 무인 탐사의 중요한 목표가 될 수 있다.

thumbnail - 화성에서의 생존을 소재로 한 영화 ‘마션’의 한 장면.
화성에서의 생존을 소재로 한 영화 ‘마션’의 한 장면.


만약 땅속에서 얼음을 확보할 수 있다면 혹시 있었을지도 모르는 화성 생명체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찾을 수 있다. 생명체에 대한 단서가 없더라도 물은 귀중한 자원으로 화성 유인 탐사시 활용할 수 있다. 사람이 마시거나 식물을 키우는 데 쓸 수 있고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해하면 우주선 연료로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물이 있다고 해도 얼마나 깊은 곳에 얼마나 많은 양이 있는지는 직접 탐사하기 전까지는 알 수 없다. 이 질문에 대한 첫 번째 해답은 2028년 발사 예정인 유럽 우주국(ESA)의 엑소마스 프로젝트에서 나올 수도 있다. 이 프로젝트 가운데 화성 표면을 탐사할 로잘린드 프랭클린 로버에 물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장비를 갖추고 있다.

만약 화성의 얼음이 지표와 가까운 곳에 있고 양도 충분하다면 인류의 화성 진출은 훨씬 쉬워질 것이다.

고든 정 과학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
Popular News
Latest Shorts
기자 PICK 글로벌 뉴스
TWIG 연예·이슈·라이프
서울 En 방송·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