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 ‘4000만 마리’ 뿌리는 드론…지상낙원 하와이가 ‘모기섬’ 된 이유(영상)

thumbnail - 모기 자료사진. 123rf.com
모기 자료사진. 123rf.com


지상낙원으로 불리는 하와이에 모기 4000만 마리가 뿌려졌다. 현지 과학자들이 드론까지 동원에 수많은 모기를 뿌린 이유는 무엇일까.

미국 스미소니언박물관이 발행하는 월간지인 스미소니언 매거진은 지난 16일(현지시간) “과학자들이 하와이 토종 조류를 구하기 위해 하와이에 모기 수천마리를 풀어놓았다”고 전했다.

thumbnail - 모기가 담긴 원통형의 종이 함이 드론에서 지상으로 떨어지고 있다. 하와이 환경단체 제공
모기가 담긴 원통형의 종이 함이 드론에서 지상으로 떨어지고 있다. 하와이 환경단체 제공


현지 환경단체 ‘모기가 아닌 새’(Birds, Not Mosquitoes)는 지난해 말부터 마우이와 카우아이 등 하와이 일부 지역에 수컷 모기 약 4000만 마리를 살포했다. 최근에는 대형 드론까지 동원해 접근이 어려운 지역까지 방사 범위를 확대했다.

환경단체가 인간에게는 해충으로 분류되는 모기 수천만 마리를 방사한 이유는 마우이섬에 서식하는 토착 조류인 꿀먹이새(honeycreeper) 구하기 위해서다.

현재 하와이에는 꿀먹이새 50종 중 17종만 남아있는데, 대부분 모기로 전파되는 말라리아 때문에 개체수가 급감했다. 남아있는 종도 고지대에서 간신히 생존하고 있다.

thumbnail - 하와이 토종 조류인 꿀먹이새 자료사진. 미국 조류 보호협회 제공
하와이 토종 조류인 꿀먹이새 자료사진. 미국 조류 보호협회 제공


꿀먹이새를 모기로부터 구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모기 개체수를 줄이는 것이다. 이에 환경단체는 볼바키아 박테리아에 감염된 수컷 모기를 동원했다. 이 수컷 모기는 박테리아 탓에 번식이 불가능하며 야생 암컷 모기와 짝짓기를 하더라도 알이 부화하지 않는다.

환경단체는 헬리콥터를 동원해 박테리아 감염 수컷 모기를 방사하다 최근에는 길이 2.4m의 대형 드론까지 동원했다. 드론은 헬리콥터만큼 많은 모기를 한꺼번에 운반할 수는 없지만 사람이 근접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더욱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드론은 날씨와 관계없이 즉각적인 배치가 가능한데다 헬리콥터가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도 접근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모기를 방사한다.

thumbnail - 모기가 담긴 원통형의 종이 함이 드론에서 지상으로 떨어지고 있다. 하와이 환경단체 제공
모기가 담긴 원통형의 종이 함이 드론에서 지상으로 떨어지고 있다. 하와이 환경단체 제공


이 모기들은 살균된 생분해성 종이 펄프로 만든 원통형 함에 든 채 하와이 곳곳에 투하된다. 각각의 함에는 수컷 모기 약 1000마리가 들어있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드론 조종사인 애덤 녹스는 포브스에 “종이 펄프로 만든 원통형 함이 방출되면 모기가 숲 바닥에 떨어질 때까지 모기를 보호한다”면서 “이후 함이 자연에 노출돼 분해되기 시작하면 내부에 있던 모기들이 방사된다”고 설명했다.

thumbnail - 모기가 담긴 원통형의 종이 함이 드론에서 지상으로 떨어지고 있다. 하와이 환경단체 제공
모기가 담긴 원통형의 종이 함이 드론에서 지상으로 떨어지고 있다. 하와이 환경단체 제공


한편 특정 박테리아에 감염된 모기를 방사해 개체 수를 줄이는 방식은 미국 플로리다와 캘리포니아, 멕시코, 중국 등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활용된다. 다만 지금까지 이러한 방식은 동물이 아닌 사람에게 질병을 전파하는 모기를 방제하는 데 사용됐다.

스미소니언 매거진은 “조류는 서식지 감소와 쥐 같은 외래종 때문에 여러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그중에서도 모기 매개 질병은 새들이 직면한 가장 큰 위협”이라면서 “어떤 새는 감염된 모기에 단 한 번만 물려도 죽을 수 있다”고 전했다.

송현서 기자
Popular News
Latest Shorts
기자 PICK 글로벌 뉴스
TWIG 연예·이슈·라이프
서울 En 방송·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