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VIP’ 탓에 민간 항공기 착륙 실패…“67명 사망 참사 잊었나” 비난 [핫이슈]
송현서 기자
입력 2025 05 03 15:09
수정 2025 05 03 15:09

미 군용 헬리콥터 블랙호크 자료사진
“군대가 또다시 민간 여행객을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
미 육군이 운용하는 블랙호크 군용 헬리콥터 때문에 민간 항공기 2대가 착륙을 취소한 사건이 발생해 당국이 조사에 나섰다.
미 워싱턴포스트, 영국 로이터통신 등 외신은 2일(현지시간) “육군 헬리콥터 탓에 워싱턴행 항공편 2대가 착륙이 중단된 후 미 정부가 조사에 착수했다”고 보도했다.
연방항공청(FAA)에 따르면 지난 1일 오후 올랜도와 보스턴 등지에서 로널드 레이건 국제공항으로 향하던 민간 여객기 2대는 관제소의 통제에 따라 착륙하지 못한 채 인근 공항으로 가야 했다. 여객기들이 공항에 착륙하는 항로에 특수작전용 군 헬리콥터인 블랙호크가 비행 중이었기 때문이다.

미국 워싱턴포스트 2일자 보도 캡처
이번 일은 지난 1월 29일 역시 로널드 레이건 국제공항에 착륙을 시도하던 아메리칸항공 여객기가 블랙호크와 충돌하면서 두 항공기 탑승자 67명이 전원 사망하는 사건을 연상케 한다는 점에서 즉각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더불어 문제의 블랙호크가 ‘굳이’ 펜타곤(미 국방부)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등 경치가 좋다고 알려진 항로를 선택해 비행하면서 다른 민간 항공기의 항로를 방해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항공추적데이터에 따르면, 당시 블랙호크 헬기는 버지니아주에서 펜타곤으로 향하고 있었다. 만약 문제의 블랙호크가 펜타곤의 헬기 착륙장까지 직항로를 이용했다면 민간 여객기의 착륙을 방해하는 일은 없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 블랙호크는 펜타곤 남쪽과 동쪽을 우회하며 비행했다. 이 과정에서 혼잡한 공항 비행경로에 더 가까워졌고, 결국 해당 경로를 통해 착륙해야 했던 다른 민간 항공기들이 돌아서는 일이 발생했다는 게 일각의 주장이다.
워싱턴포스트는 “육군 블랙호크가 비행경로 근처의 ‘경치 좋은 항로’를 택해 펜타곤(미 국방부)을 선회한 뒤 군용 헬리포트에 착륙하면서 민간 여객기 두 대가 착륙을 포기했다”고 전했다.
“군 간부들을 위한 ‘항공 택시’ 운행 중단해야”민주당 소속의 마리아 캔트웰 상원의원(워싱턴)은 “지난 1월 사고가 발생한 블랙호크 운용 부대는 불과 일주일 전에 워싱턴 지역에서 (블랙호크) 운항을 재개했다”면서 “FAA는 공항 주변의 혼잡한 상공에서 여객기와 헬리콥터의 항로를 분리하기 위한 여러 조치를 취했으나, 유사한 일이 또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블랙호크 헬리콥터가 여객기와 비극적으로 충돌한 지 불과 3개월 만에, 같은 육군 여단이 공항 인근에서 여객기에 너무 가까이 접근 비행한 것은 터무니없는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현지시간으로 2월 3일 델타항공 여객기가 워싱턴DC 인근 로널드 레이건 국제공항에서 이륙 중이다. 그 앞으로 지난 1월 29일 군용 헬리콥터인 블랙호크와 아메리칸항공 여객기 충돌로 인한 잔해를 수거하는 크레인이 보인다. 워싱턴포스트 제공
상무·과학·교통위원회 위원장인 테드 크루즈 의원(텍사스)은 “군대가 또다시 민간 여행객을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면서 “FAA가 신속하게 조처하고고 국가 영공에 대한 통제권 행사를 통해 군이 로널드 레이건 워싱턴 국립공항 근처에서 군 간부들을 위한 ‘항공 택시’(블랙호크 등 군 비행 자산) 운행을 중단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숀 더피 교통부 장관 역시 엑스에 “얼마 전 우리는 67명의 목숨을 잃었다. 더 이상 VIP를 위한 헬리콥터 탑승이나 민간 여객기로 혼잡한 영공에서의 불필요한 훈련은 없다”면서 “(필요하다면) 택시나 우버를 이용하라”고 일침을 가했다.
한편 FAA는 이날 블랙호크가 혼잡한 공항 비행경로를 선택하고 펜타곤 인근을 우회한 비행 등이 육군과 교통부 간의 합의를 위반한 것인지를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송현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