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한 일상에 ‘소확행’을 선사하는 ‘가챠샵’ 이야기 [한ZOOM]

thumbnail - 우리나라에서도 가챠파크 보급이 확대되는 추세다. 사진은 서울 용산역 아이파크몰에 있는 가챠삽으로 국내 최대 규모다. 아이파크몰
우리나라에서도 가챠파크 보급이 확대되는 추세다. 사진은 서울 용산역 아이파크몰에 있는 가챠삽으로 국내 최대 규모다. 아이파크몰


“‘독수리 오형제’는 엄밀히 말해서 ‘조류 오남매’이며, 원제는 ‘과학닌자대 갓챠맨’이다!”

이 충격적인 사실은 어린 시절 ‘슈파 슈파~’를 외치며 독수리 오형제 놀이를 즐겼던 많은 이들에게 배신감에 가까운 당혹감을 안겨준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궁금증이 생긴다. ‘갓챠맨’과 요즘 유행하는 ‘가챠샵’의 ‘가챠’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갓챠맨’과 ‘가챠’, 어원부터 다르다!결론부터 말하면 ‘갓챠맨’의 ‘갓챠(Gatcha)’와 인형 뽑기 기계의 ‘가챠(Gacha)’는 아무 연관이 없다. 비슷하게 들리지만 어원과 의미는 완전히 다르다.

‘갓챠(Gatcha)’는 영어 구어체 표현인 ‘Gotcha’에서 유래했다. ‘알겠어’(I got it), ‘잡았어’(I caught you) 등 의미로 사용되는 ‘Gotcha’는 갓챠맨이 ‘악당을 잡고 정의를 실현한다는 의미를 담기 위해 차용된 이름이다.

반면, ‘가챠‘(Gacha)는 일본어 의성어다. 캡슐 장난감 뽑기 기계에 동전을 넣고 손잡이를 돌릴 때 나는 ‘찰칵찰칵’ 소리를 일본에서는 ‘가챠가챠‘(がちゃがちゃ)라고 표현한다. 바로 이 소리에서 착안해서 캡슐 장난감 뽑기 기계를 ‘가챠’라고 부르게 되었고, 이를 판매하는 매장을 ‘가챠숍’(Gachashop)이라 부르게 된 것이다.

thumbnail - 우리나라에서는 가차샵이 청소년과 어린이들이 캡슐 장난감을 뽑는 ‘뽑기가게’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오래 전부터 전 세대를 아우르는 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Willian Mota, Pexels
우리나라에서는 가차샵이 청소년과 어린이들이 캡슐 장난감을 뽑는 ‘뽑기가게’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오래 전부터 전 세대를 아우르는 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Willian Mota, Pexels


‘소확행’과 ‘키덜트’ 문화 타고 급성장하는 가챠샵처음 일본 오사카를 방문했을 때 길거리 곳곳의 ‘가챠’ 기계와 번화가 대형 ‘가챠샵’은 필자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비록 국내보다 이용 금액은 높았지만 손에 쥔 캡슐 장난감의 뛰어난 품질에 만족감이 상당했다.

시간이 흘러 우리나라도 가챠샵이 속속 등장하기 시작했다. 여전히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뽑기 가게’라는 이미지가 강하지만, 최근에는 성인 이용 비율이 급증해 강남, 성수, 홍대 등 핵심 상권에도 대형 가챠샵이 들어서고 있다. 가챠샵 시장 규모는 2024년 약 300억원, 2025년 약 400억원 규모(추산)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가챠샵 확산의 주요 원인을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과 ‘키덜트‘(Kidult)’ 문화의 확산에서 찾는다. 3000원에서 5000원 정도 부담 없는 가격으로 랜덤 캡슐 장난감을 뽑는 소소한 스릴을 즐길 수 있어서다. 과거 캡슐 장난감은 ‘예쁜 쓰레기’로 불렸지만 요즘 제품들은 캐릭터, 인테리어 소품, 음식 모형 등 높은 품질을 과시해 성인 수집가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thumbnail - 이 ‘갓챠’ 아니고요.‘과학닌자대 갓챠맨’은 1972년 후지TV에서 방영된 애니메이션 시리즈다. 타츠노코 프로덕션 최고의 히트작이며 우리나라에서는 ‘독수리 오형제’라는 제목으로 1979년 TV에서 방영되었다. 타츠노코 프로덕션
이 ‘갓챠’ 아니고요.
‘과학닌자대 갓챠맨’은 1972년 후지TV에서 방영된 애니메이션 시리즈다. 타츠노코 프로덕션 최고의 히트작이며 우리나라에서는 ‘독수리 오형제’라는 제목으로 1979년 TV에서 방영되었다. 타츠노코 프로덕션


당분간 가챠샵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일상 속 ‘소확행’을 추구하는 현대인들과 ‘키덜트’들의 수집 욕구를 동시에 만족시키며 하나의 문화적 현상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예상된다. 나아가 K콘텐츠와 연계해 수출 방안까지 검토되고 있어, 앞으로 가챠샵이 우리 문화의 새로운 아이콘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한정구 칼럼니스트 deeppocket@naver.com
Popular News
Latest Shorts
기자 PICK 글로벌 뉴스
TWIG 연예·이슈·라이프
서울 En 방송·연예